연구 및 성공사례
질병치료의 마지막 희망, 줄기세포
이윤식 박사님
국내 생명공학 최고권위자
일본 동경대학교 생명공학박사,
미국 펜실베니아대학교 의과대학기초교수

주요경력
UNESCO Young Scientist Feliowship 장학생
동경대학교 대학원 문부성 장학생
일본 전국 박사과정최우수프로젝트상
일본 후생성 유전자치료 DNAVEC연구소 연구원
미국 국립보건연구소 연구원
미국 펜실베니아대학 의과대학 기초교수
한국과학재단 책임연구원
현 봄줄기세포의료 연구소장
2021년 2월 16일 제6회 KOREA AWARDS에서 ‘줄기세포공로大賞 수상’
세계최고수준인 암연구, 세포연구 잡지에 다수보고
일본 후생성 DNAVEC연구소에서 코로나바이러스
유전자치료 및 백신개발
이윤식 박사는 40년 외길 의료.생명공학에 관한 연구수행 (1980년 ~ 현재)
특히 동경대학에서 뇌세포 활성화, 신경계 질환 및 치매연구 – 命門火, 텔러미어
* 일본 통산성 생명공학 공업기술연구소에서 면역활성, 줄기세포를 이용한 암세포치료연구소에 특허 및 세계최고의 바이러스학회지, J. of Virology에 보고)
* 미국 국립보건원에서 간암 및 간질환에 관한 줄기세포 치료연구(미국 약리학회지에 보고)
* 세계최고의 대학 펜실베니아대학 의과대학에서, 개인이 1,000억대의 연구비를 쓰며, 당뇨쥐 50만마리 이상 임상적용 실험연구 – 국내외 최고의 의료생명공학연구자
* 현재, 생명공학기술을 이용한 줄기세포 산업화 및 의료용 치료제 및 장비개발
국민의 건강에 꼭 필요한 바이오산업의 보급화 및 국부창출을 위한 연구개발에
심혈을 기울이고 있음
줄기세포 연구
1992년 동경대학 박사 과정 중 성체줄기세포 연구
1995년 DNAVEC 유전자 치료 연구소 팀장
2000년 미국 국립보건원 NIH 신경계 질환 간 · 심장관련 줄기세포 치료연구
2006년 미국 펜실베니아 의과대학 당뇨연구센터
2011년 성신 여자대학교 교수 글로벌의과학과 미국 의사 양성학과(국내최초설립)
2017년 세종대왕 생명공학 연구원 대표원장
2022년 메디셀플러스의원과 협력
2024년 10월 1일 오바마도 수상한 한반도통일공헌대상 의료분야공로상
2024년 10월 명동 리셀줄기세포 메디칼센터 개원
1835년 런던 의과대학에서 냉동보관했던 성체줄기세포 150년만에 재생 성공 영장류 뇌 신경세포 최장 배양 성공 줄기세포 배양용 시약 및 줄기세포 혼합 시약 최적화 성공 연세대학 세포사업단장 김동욱박사팀에 정부 중점의료과제연구비 88억 선정 하여줌, 서울대학 세포은행 50억 상당 균주증여
→ 미국 및 일본 연구소 보관 균주 및 세포주 증여
공동연구라인
하버드의과대학, 유펜 (Univ. of Pennsylvania) 의과대학, 보스턴의과대,
일본왕립이화학연구소, 동경대학, 일본대학의과대학, 통산성, 생명공학공업기술원,
길병원, 21C병원, 한양의과대학/대학병원, 순천향대학병원, 백병원
Univ. of Southern California (USC) 대학병원내과 암전문의로 딸이 재직 중
Univ. of California San Fransisco (UCSF) 의과대학 공동연구라인,
미국 국립보건원(National Institute of Health),
중국상하이 연구소, 북경대학병원




장상근 박사님
줄기세포 분야 국내 최고의 의사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박사 졸업,
전 건국대 병원장
전세계 VIP의 주치의

이력
가톨릭의대 부속 성모병원 신경외과
건국대학교 병원 신경외과 주임교수
건국대학교 병원 병원장 겸 의료 원장
건국대학교 의과전문대학원 명예교수
학회 활동
대한신경외과학회 이사
대한척추신경외과학회 이사
최소침습내시경 척추신경외과학회 정회원
대한뇌혈관학회 정회원
대한노인신경외과학회 정회원
대한신경통증학회 상임이사
대한신경외상학회 정회원
한국항공우주의학회 정회원
국제뇌졸중학회 정회원
대한뇌종양학회 정회원
(사)생명공학유전자학회 학회장 및 대표
국제 줄기세포 미용학회 학회 회장
(현)중국 수도의과 대학 초청교수
전세계 15개국 대통령 및 국왕 주치의 역임
학위논문
담관결찰이 토끼의 장점막상피 Enterochromaffin Cell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 논문, 1974)
Hydrochlorothiazide 투여로 일어난 만성고칼슘혈증 때의 Parafollicular Cell의 형태학적 변화 (박사학위 논문, 1981)
학술논문
만연성 혈관내 응고증을 동반한 좌 중대뇌동맥 폐쇄증(대한신경외과학회지, 1975)
뇌 실질내 혈종을 돌반한 Ependymoblastoma(대한신경외과학회지, 1976)
두부외상으로 인한 양반측면시야 결손 1례(대한신경외과학회지, 1976)
Diencephalic Syndrome 1예 보고(대한신경외과학회지, 1980)
유아 무뇌수두증 2예 보고(대한신경외과학회지, 1980)
실험적 중추성 폐부종에 대한 Alpha-Adrenergic Blockade의 효과(대한신경외과학회지, 1981)
두부손상 및 혼수상태하의 급성뇌압상승에 대한 Thiopental 및 Mannitol의 효과(대한신경외과학회지, 1981)
사대골 하부에 발생된 뇌수막종 경구를 통한 수술 1예 보고(대한신경외과학회지, 1981)
거대대액조 4예 보고(대한신경외과학회지, 1981)
척수내 신경직유종 1예 보고(대한신경외과학회지, 1981)
요추부 수핵탈출증 치료에 있어서 화학적 수핵용해술과 경피적 자동수핵제거술의 시술방법에 따른 결과 비교(학술지(자연): 건국대학교 학술원, 1990)
BOP를 이용한 요천추부 인대성형술(대한신경외과학회지, 1991)
요추간판, 탈출증 환자의 컴퓨터 적외선 전신 체열 촬영을 이용한 수술 후 평가(대한신경외과학회지, 1991)
척추 전.후방 동시 고정술(건국의과학학술지, 1993)
침천자 후 발생한 척추 경막외 농양(건국의과학학술지, 1993)
거대 천막상하 뇌수막종 1예 보고(대한신경외과학회지, 1993)
수술중 국소뇌혈류 측정 21예(대한신경외과학회지, 1994)
요추부 추간판탈출증에서 경피적 자동수핵제거술 치료의 예후 인자(대한신경외과학회지, 1994)
Availability of Discographic Computed Tomography in Automated Percutaneous Lumbar Discectomy(Journal of Korean Medical Science, 1995)
외상성 흉요추 및 요추부 골절에 행한 후측방 척추 고정술 27례에 대한 임상적 고찰(대한외상학회지, 1995)
전기수지자극의 통증관리효과 -척추후궁절제술 환자의 수술 후 통증과 경추부 염좌환자에 대한 통증관리효과(대한통증학회지, 1996)
거대 뇌하수체 종양에서 경접형골동 접근수술(학술지(자연): 건국대학교 학술원, 1996)
뇌경막내에 위치한 수막성 골종 -증례보고-(건국의과학학술지, 1996)
요추간판탈출증 환자의 통증관리를 위한 스테로이드와 Bypivacaine의 병용요법(대한신경외과학회지, 1996)
외상성 및 신경외과적 통증에 대한 Piroxicam 근주의 임상적 효과(최신의학, 1996)
수술한 54례의 척추전방전위증 환자의 임상분석(대한신경외과학회지, 1998)
경막내 척수 섬유지방성 과오종 치험1례(대한신경외과학회지, 1998)
저급 척추골전전위증의 수술 치료 -정복술 실시여부에 따른 비교분석-(대한신경외과학회지, 1999)
외상성 뇌경막하 농양 1예(건국의과학학술지, 1999)
Failed Back Surgery Syndrome에서 만족스러운 치료 결과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대한신경외과학회지, 2000)
“중증 뇌손상 환자에서 뇌동정맥 산소함유량차이와
지연성 뇌경색 발생과의 관계(대한신경외과학회지, 2000)”
본태성 수장부 다한증 환자에서 선택적인 T3 교감신경 차단술(대한신경외과학회지, 2000)
척수 원위부에 발생한 경막내수막외 혈관아세포종 -증례보고-(대한신경외과학회지, 2000)
노령인구의 요추질환에 대한 수술적 치료결과의 분석(대한신경외과학회지, 2000)
TFC를 이용한 하부 요추골에서 후방 추체간 융합술(건국의과학학술지, 2000)
Occipital Cervical Loop를 이용한 Type 3 Hangman’s Fracture의 수술 치험 1예(건국의과학학술지, 2000)
중증 뇌손상 환자에서 고농도 산소치료법(대한신경외과학회지, 2001)
고혈압성 뇌실질내 혈종의 급성 팽창(대한뇌혈관학회지, 2001)
한국인의 후방 천골 나사못 고정을 위한 전산화 단층 촬영을 통한 천골의 방사선학적 계측(최신의학, 2002)
다형성 교모세포종에서 광범위 전적출술후 단기 재발된 치험 1예(건국의과학학술지, 2003)
후방경유요추 수술 후 근육 관련 효소의 변화(대한신경외과학회지, 2004)
골반 신경절에 대한 GABA의 신경 흥분성 작용(대한신경외과학회지, 2004)
Stroke에서 감압적 개두술, 정위적 조직 생검과 병리적 소견 고찰: 중증 제뇌탈출을 동반한 초급성 뇌경색과 신경교종 내 출혈 감별(건국의과학학술지, 2004)
시상정맥동파열의 진단 및 치료에서의 중점적 고려(건국의과학학술지, 2005)
CT Angiography in Acute Ischemic Stroke(대한뇌혈관외과학회지, 2006)
Fluoroscopic-guided Intradiscal Oxygen-Ozone Injection Therapy for Thoracolumbar Intervertebral Disc Herniations in Dogs(In Vivo, 2007)
Detachable Coil Embolization for Carotid-Cavernous Fistula: Technical Considerations(Journal of Korean Society of Intravascular Neurosurgery, 2007)
Clinical Significance of a Frameless Stereotactic System for Accurate Brain Tumor Localization:Fiducial and Surface Registration(대한정위기능신경외과학회지, 2007)
Traumatic Entrapment of the Vertebrobasilar Junction Due to a Longitudinal Clival Fracture: A Case Report(Journal of Korean Medical Science, 2008)
Efficacy of Laparoscopy Guided Ventriculo-Peritoneal Shunt : Analysis of Data in 102 Consecutive Patients(대한뇌혈관외과학회지, 2008)
퇴행성 요추부 질환에 대한 치료에서 척추 고정술과 동반된 인접부 극돌기간 기구 삽입술의 유용성에 대한 예비보고(Korean Journal of Spine, 2009)
Generation of functional cardiomyocytes from mouse induced pluripotent stem cells(International Journal of Cardiology, 2011)
One versus Two Burr-hole Drainage of Chronic Subdural Hematoma and Valsalva Maneuever(대한노인신경외과학회지, 2011)
Postoperative Lesion Side Down Posture in Patients with Chronic Subdural Hematoma: Its Impact on Hospital Stay and Recurrence Rate(대한신경손상학회지, 2011)
골다공증에 의한 압박 골절의 치료에 있어서 경피적 추체 성형술의 의의(건국의과학학술지, 2011)
결핵성 척추염에서 양측 접근법에 의한 전방척추융합술의 수술적치험 1예(건국의과학학술지, 2011)
Intrathecal injection of human umbilical cord blood-derived mesenchymal stem cells for the treatment of basilar artery dissection: a case report(Journal of medical case reports, 2011)
Generation of functional cardiomyocytes from mouse induced pluripotent stem cells(International Journal of Cardiology)
그 외 자격 및 증서
- SAN PEDRO 명예박사학위
- 몽골의료 정부 감사장
- 미국침구사 자격증
- 미세현미경수술 수료증
- 사우디 진료허가증
- NATURAL MEDICINE 교수
- 중국 수도의과대학 초빙교수
- 미8군 진료협력증
- 대통령 표창장
- LIFE UNIVERSITY 교수

